본문 바로가기
법률/가사

등록기준지, 본적, 호적 변경방법!!

by 리박사 2019. 11. 20.
728x90
반응형

종전 호적이 존재하는 경우

- 종전 호적이 존재하는 사람의 등록기준지는 종전 호적의 본적이 됩니다.

 

호적에서의 본적과 가족관계등록제도에서의 등록기준지

- 폐지된 호적법에 따르면 호적은 시(), , 면의 구역 내에 본적을 정하는 사람에 대해 호주를 기준으로 가별로 이를 편제하는 것을 말합니다.

- 호적은 호주제를 기본으로 하는데, 호주제를 규정한 헌재 2005.2.3.2001헌가9 헌법불합치결정으로 폐지되었고, 이후 호적의 본적은 등록기준지로 변경되었습니다.

 

종전 호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생 또는 그 밖의 사유로 처음으로 등록을 하는 경우의 등록기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당사자가 자유롭게 정하는 등록기준지

- 출생의 경우 부 또는 모의 특별한 의사표시가 없는 때에는, 자녀가 따르는 성과 본을 가진 부 또는 모의 등록기준지

- 외국인이 국적취득 또는 귀화한 경우 그 사람이 정한 등록기준지

- 국적을 회복한 경우 국적회복자가 정한 등록기준지

- 가족관계등록창설의 경우 별도의 의사표시가 없는 때에는 가족관계등록을 창설하려는 사람이 신고한 주민등록지

- 부 또는 모가 외국인인 경우 별도의 의사표시가 없는 때에는 대한민국 국민인 부 또는 모의 등록기준지

 

등록기준지의 변경

- 당사자는 등록기준지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데, 새롭게 변경하려는 등록기준지의 시(), , 면의 장에게 변경신고를 해야 합니다.

 

대리인이 본인 또는 배우자, 직계혈족(이하 본인 등이라 함)의 위임을 받아 청구하는 경우에는 본인 등의 위임장과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의 신분증명서 사본을 신청서와 함께 제출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